목록분류 전체보기 (194)
제이슨의 개발이야기

제가 오늘 격었던 에러 이슈입니다! 안드로이드 개발 중 패키지 관리를 위해서 기존에 Ui 클래스 들을 Ui패키지를 새로 만들고 Ui패키지에 클래스 관리를 하려구 했는대 빌드 해보니깐 이렇게 오류가 났습니다 ㅠㅠ 처음에는 제가 xml 에서 ViewModel 의 경로를 잘못 입력 해서 그런거라고 생각하여 type = "com.test.testproject.Ui.login.LoginViewModel 로 수정 했는대도 불구하고 오류가 났습니다 ㅠㅠ 개속 별의별 짓을 다 해보다가 Ui 패키지 명을 ui패키지로 바꾸고 했는대 드디어!!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더라구요 ㅠㅠ 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ViewModel과 데이터 바인딩하는 과정에서 패키지명이 대문자가 있을 경우 오류가 발생되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혹..

just() 나 create() 는 단일 데이터를 다뤘습니다. 그럼 단일 데이터가 아닐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fromXXX() 계열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fromArray() fromArray() 함수는 배열에 들어 있는 데이터를 처리할 때 활용하는 함수 입니다 예제 코드! Integer arr[]; arr= new Integer[]{1, 2, 3, 4, 5, 6, 7, 8, 9, 0}; Observable observable = Observable.fromArray(arr); observable.subscribe(System.out::println); fromIterable() Observable 을 만드는 다른 방법은 Iter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에서 Observable 객체를 생..

create() 함수 just() 함수는 데이터를 인자로 넣으면 자동으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지만 create() 함수는 onNext , onComplete, onError 같은 알림을 개발자가 직접 호출해야 합니다. 그래서 create() 는 라이브러리가 무언가를 해준다기보다 개발자가 무언가를 직접 하는 느낌이 강한 함수 입니다 ex) Observable source = Observable.create( (ObservableEmitter emitter) -> { emitter.onNext(100); emitter.onNext(200); emitter.onNext(300); emitter.onComplete(); }); source.subscribe(System.out::println); 결과 화면 : ..

오늘은 Observable 클래스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Rx Java 프로그래밍은 Observable에서 시작해서 Observable 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중요한 개념입니다 그래서 Rx Java 를 공부하기 위해서 Observable에 대해 충분히 숙지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Observable 은 옵서버 패턴으로 구현한 클래스로 구현합니다 옵서버 패턴은 객체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는 관찰자(옵서버) 목록을 객체에 등록하고 상태 변화가 있을 때 마다 메서드를 호출하여 객체가 직접 목록의 각 옵서버에게 변화를 알려줍니다 Rx Java 의 Observable은 세 가지의 알림을 구독자에게 전달합니다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onNext : Observable이 데이터의 발행을 알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