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안드로이드 (38)
제이슨의 개발이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BLpaq/btrRAhcdVVZ/3yMELkoJ3glu5nNprya1gK/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안드로이드 Context가 무엇인지 공부하려고 합니다!! Context 란?? Context 란 어플리케이션 현재 상태의 맥락을 의미합니다 Context는 생성된 객체가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Context 는 리소스. 데이터베이스, preferences 등에 시스템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고 뿐만 아니라 Activity 시작, Intent 수신과 브로드캐스팅 등의 Application 수준 작업의 호출이 가능하다.\ Context는 Android 시스템에서 구현을 제공하는 추상 클래스이고 Application 과 Activity는 Context를 확장한 서브 클래스 입니다 따라서 액티비티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컨텍스트를 사용하고 여러 리소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7eip/btrAh730lgt/FDEzhwtujpNrjrD44mzuW0/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안드로이드 데이터 바인딩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데이터 바인딩이란 프로그래매틱 방식이 아니라 선언적 형식으로 레이아웃의 UI 구성요소를 앱의 데이터 소스와 결합할 수 있는 지원 라이브러리입니다 앱의 데이터 소스와 결합할 수 있어서 UI 요소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 장점을 이야기 해보자면 1.findViewId()를 호출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xml 에 있는 View들을 만들어 줍니다 2.data가 바뀌면 자동으로 View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3.코드의 가독성이 좋아집니다 등등 많은 장점이 존재합니다! 장점이 있으면 동시에 단점도 존재합니다! 클래스 파일이 많이 생겨 빌드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존재하는대 MVVM 또는 MVP 아키택처를 함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BQNj0/btrx1IFEDx8/Ausv7kb1l3DEjPnfDojgOK/img.jpg)
안녕하세요! 오늘은 외부 기기(스마트폰 , 테블릿, PC 등) 와 Virtual Box 가상머신에 설치되어있는 Ubuntu 리눅스 환경에서 작동하는 Server 와 소켓 통신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참고로 제가 설명이 서툰점 이해 부탁드립니다 ㅠㅠㅠㅠㅠ 보통 개발자 분들이 가지고 있으신 PC는 대부분 Mac Os 또는 Window 를 사용하고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간혹 Linux 환경에서 Server 구축 후 Client 와 연결이 필요로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때는 보통의 경우 Virtual Box 란 가상머신 위에 Linux 환경을 구축해서 Linux 환경에서의 개발을 진행해야합니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기존 PC에 서버를 구동하면 전혀 상관없지만 Virtual..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XkakZ/btrd64IYFxz/4aynjk1NUh36rr1PHydgm0/img.png)
※ 안녕하세요! 오늘은 개발 공부를 하려다가 문뜩 build.Gradle 에서 project 와 app 의 차이가 무엇일까? 에 대해서 갑자기 궁금해저서 공부해보았습니다! 일단 차이에 대해서 공부 하기전 Gradle이 무엇인지 부터 먼저 알아야 할 거 같습니다! 그래들(Gradle) 이란 간단하게 말하면 빌드 도구입니다 이클립스나 인텔리제이 혹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같은 IDE에서 개발자가 열심히 코드 작성 후 Run 버튼을 눌렀을 때 실행 하거나 release 파일 안드로이드 같은 경우 APK 나 AAB 파일 을 만들기 위해서는 빌드 란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때 Gradle 은 빌드 하기 위한 도구 입니다 ! 이런 빌드 도구 는 그래들 (Gradle ) 말고도 메이븐(Maven) 이나 그루비 (Gr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