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객체지향 (2)
제이슨의 개발이야기

스트레티지 패턴 (strategy pattern) 이란 서로 다른 알고리즘들이 존재하고 , 실행 중 적합한 알고리즘을 선택해서 적용하는 패턴을 스트레티지 패턴 입니다 이것을 좀 더 쉽게 예를 들자면 영화 티켓을 구매하는 경우 누군가는 초대권이 있어서 초대권으로 티켓을 받는 경우 , 누군가는 현금결제 , 누군가는 신용카드 결제 , 누군가는 vip 멤버쉽 티켓 등등 같은 티켓을 구매하지만 티켓을 구매하는 방식(알고리즘) 이 서로 다른 경우 스트레티지 패턴 (strategy pattern) 을 사용하면 쉽게 간결하게 구현 할 수 있습니다 ! 다시 스트레티지 패턴 (strategy pattern) 을 정리하면 같은 종류의 작업(ex 영화티켓 구매) 을 하는 알고리즘을 정의 하고 각 알고리즘을 캡슐화 함 그리고 ..

저는 디자인 패턴 을 작년(2020) 학교수업을 통해서 공부 했었습니다 그러나 몇개월 지나고 나니깐 기억나는 패턴이 얼마 없더라구요 ㅠㅠ 그래서 요번 기회에 하나씩 복습하고자 블로그에 디자인 패턴을 하나씩 써보자 합니다 일단 처음에 프로그래밍 개발에 있어서 디자인 패턴이 무엇이고 왜 해야할까? 에 대해서 설명 하겠습니다 위키백과 에서 디자인 패턴에 대한 설명은 ->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은 건축학 및 컴퓨터 과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설계 문제에 대한 해답을 문서화하기위해 고안된 형식 방법이다. 이 방식은 건축가 크리스토퍼 알렉산더가 건축학 영역에서 고안한 것을 그 시초로 하며[1], 이후 컴퓨터 과학 등 여러 다른 분야에도 도입되었다.[2] 디자인 패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